안녕하세요. 24 절기 중 네 번째 절기인 춘분의 의미와 유래, 춘분에 먹었던 음식과 풍습, 그리고 춘분과 관련된 속담과 춘분에 나누기 좋은 인사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춘분의 의미와 유래
춘분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입니다. 춘분은 보통 양력 3월 21일 전후(음력 2월경)이며 올해 춘분은 2023년 3월 21일입니다. 춘분무렵이 되면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면서 음양의 기운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더위와 추위도 같아집니다.
춘분은 봄춘(春), 나눌 분(分) 즉, 봄을 나눈다는 뜻인데요. 차가운 겨울 기운을 떨쳐내고 완연한 봄기운으로 가득 차기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봄기운을 가진 춘분을 일 년 중 농사하기 가장 좋은 절기라고 여겼는데요. 이날 조상들은 농기계를 정비하는 등 일 년 농사를 준비하고, 담을 고치고, 봄나물도 캐어 먹었답니다.
2. 춘분 인사말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선조들은 아침저녁 두끼만 먹다가 춘분을 기점으로 세끼를 먹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만큼 춘분은 완연한 봄기운에 만물이 활발히 소생하기 시작하는 때라고 할 수 있겠지요. 따뜻한 봄기운을 담아 춘분에 사용하기 좋은 인사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봄기운이 만연한 춘분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기원합니다.
- 따뜻한 봄바람이 느껴지는 춘분입니다. 봄바람처럼 따뜻하고 싱그러운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 봄바람에 꽃내음이 느껴지는 춘분입니다. 꽃향기와 함께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
춘분 인사말, 이미지 보러가기 ☞
3. 춘분에 먹는 음식
우리 조상들은 춘분에 어떤 음식을 즐겨 먹었을까요? 조상들이 춘분에 즐겨 먹었던 음식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요. 바로 머슴 떡, 봄나물, 볶은 콩이랍니다.
머슴 떡
춘분은 일년 농사 준비를 시작하는 날인 만큼 추운 겨울 동안 쉬고 있었던 머슴들을 불러 올해 일 년 농사도 잘 도와달라고 부탁하면서 음식을 푸짐하게 준비해 대접하였는데요. 이때 먹었던 음식 중 하나가 머슴 떡입니다. 머슴떡은 송편과 비슷한 모양이며, 재밌는 건 머슴 떡은 나이대로 먹게 했답니다.
봄나물
따뜻한 봄이되면 산과 들에 영양이 가득한 싱그러운 봄나물이 가득 돋아나는데요. 우리 조상들은 냉이, 돌나물, 달래 등의 봄나물을 캐어 섭취하여 겨우내 부족했던 비타민과 무기질등을 보충했답니다. 건강을 지키는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풍습이죠.
볶은 콩
춘분날에는 콩을 볶아 먹으면 곡식을 훔쳐가는 새와 쥐가 사라져 곡식을 축내는 일이 없어진다는 미신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춘분날에는 집집마다 볶은 콩을 먹었습니다.
4. 춘분 세시 풍습
앞서 말씀드렸듯 춘분은 일 년 농사를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날이라 여겨졌기에 농사와 관련된 풍습이 많답니다.
밭 갈기(춘경)
춘분은 본격적으로 일 년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따뜻한 봄기운에 겨우내 꽁꽁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하는 시기인 만큼 농가에서는 논밭을 갈고 물길을 정비하는 등 '춘경' 작업을 하며 일년 농사를 준비합니다.
구름점 보기
춘분에는 하늘의 구름을 보고 일 년의 농사를 점쳤는데요. 춘분에 구름 한 점 없이 맑으면 흉조, 구름이 많아 해가 보이지 않으면 길조라고 믿었답니다. 또 이날 해가 뜰 때 정동 쪽에 푸른 구름이 있거나 동풍이 불면 보리 풍년이 든다고 믿었답니다.
나이떡 먹기
춘분에는 정월대보름에 세워두었던 볏가릿대 속에 담아두었던 곡식으로 나이떡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나이떡은 머슴떡이라고도 하며 송편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 아이들은 작게, 어른들은 크게 빚어 각자 자신의 나이만큼 떡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사한제 지내기
옛날에는 얼음이 매우 귀했기에 입춘과 춘분에 일 년 동안 어름을 잘 보관하기 위해 사한제라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사한단에서 추위의 신인 현명씨에게 지내는 제사여서 사한제라고 한답니다. 사한제 풍습은 고려 시대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습니다.
5. 춘분 속담 모음
춘분은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길목이죠. 따뜻한 봄햇살에 방심했다가 뒤늦은 꽃샘추위에 깜짝 놀랄 수 있는 시기이죠. 춘분 관련 속담에도 이러한 날씨를 반영한 속담이 많답니다. 또한 춘분은 양력으론 3월이지만 음력으론 2월이기에 2월이 들어간 속담도 많답니다.
꽃샘에 설늙은이 얽어 죽는다.
꽃샘은 꽃샘추위를, 설늙은이는 50~60대 어르신들을 뜻해요. 따뜻한 봄이 온 것 같아도, 아직은 정정한 50~60대 어르신들이 얼어 죽을 만큼 추위가 남아있다는 뜻이랍니다. 그만큼 꽃샘추위가 매섭다는 뜻이겠지요.
이월바람에 검은 쇠뿔이 오그라진다.
우리 조상들은 음력을 기준으로 24 절기로 나누었는데요, 춘분은 음력으로 2월에 속한답니다. 2월 즉 춘분에 부는 바람이 단단한 쇠뿔이 오그라들 정도로 매섭다는 뜻입니다. 유사한 속담으로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2월 바람이 눈보라보다 차다.'도 있답니다.
덥고 추운 것도 춘분과 추분까지다.
추위와 더위는 24 절기의 순환에 따라 변화한다는 뜻으로 봄인 춘분과 가을인 추분은 더위와 추위가 공존하는 시기이며 변화의 경계라는 뜻입니다.
댓글